다중 위성을 활용한 득량만 잘피의 장기 분포 변화 분석

Title
다중 위성을 활용한 득량만 잘피의 장기 분포 변화 분석
Alternative Title
Long-term Seagrass Mapping using Multi-satellite Sensors at Deukryang bay, Korea
Author(s)
김근용; 최종국; 유주형
KIOST Author(s)
Kim, Keunyong(김근용)Choi, Jong Kuk(최종국)Ryu, Joo Hyung(유주형)
Alternative Author(s)
김근용; 최종국; 유주형
Publication Year
2018-08-23
Abstract
해초지는 연안 생태계 내의 물질순환을 주도하고, 어류의 산란 및 성육장을 제공하는 등생태적으로 매우 중요한 서식지 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연안에 분포하는 해초지 규모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공간해상도의 Landsat TM/ETM+, Aster, Spot-4, Kompsat-2 인공위성영상 분석을 통해 1990년부터 2012년까지 득량만 잘피의 분포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중음향탐사를 통한 현장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Mahalanobis Distance Classification 기법을 통해 해초지를 분류하였고, Error Matrix를 통해 분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현장조사 시기에 획득된 위성영상인 Kompsat-2 위성영상의 해초지 분류 정확도는 약 73%로 계산되었다. 득량만 해초지는 2011년 2.0 km2로 최소 분포를 보였고, 1999년 6.3 km2로 최대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 분포 면적은 약 4.6 km2 이었다. 득량만 해초지는 수온, 강수량, 일조량 등 다양한 물리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조사기간 동안 대체로 안정적인 분포면적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012년 연구해역을 통과한 연속적인 태풍에 의해 분포면적이 급격히 감소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공위성영상 분석을 통한 해초지 분포면적 추정 연구를 통해 해초지의 장기변동 추이 자료도출이 가능하였고, 이 자료는 해초지 장기 생태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의 효율적 관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t TM/ETM+, Aster, Spot-4, Kompsat-2 인공위성영상 분석을 통해 1990년부터 2012년까지 득량만 잘피의 분포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중음향탐사를 통한 현장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Mahalanobis Distance Classification 기법을 통해 해초지를 분류하였고, Error Matrix를 통해 분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현장조사 시기에 획득된 위성영상인 Kompsat-2 위성영상의 해초지 분류 정확도는 약 73%로 계산되었다. 득량만 해초지는 2011년 2.0 km2로 최소 분포를 보였고, 1999년 6.3 km2로 최대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 분포 면적은 약 4.6 km2 이었다. 득량만 해초지는 수온, 강수량, 일조량 등 다양한 물리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조사기간 동안 대체로 안정적인 분포면적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2012년 연구해역을 통과한 연속적인 태풍에 의해 분포면적이 급격히 감소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공위성영상 분석을 통한 해초지 분포면적 추정 연구를 통해 해초지의 장기변동 추이 자료도출이 가능하였고, 이 자료는 해초지 장기 생태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의 효율적 관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3158
Bibliographic Citation
2018년 한국습지학회 학술발표회, pp.160, 2018
Publisher
한국습지학회
Type
Conferenc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