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설물질 유효활용 및 처분을 위한 평가에 있어 생체지표 활용의 재고 KCI

Title
준설물질 유효활용 및 처분을 위한 평가에 있어 생체지표 활용의 재고
Alternative Title
Significance of Biomarkers in the Assessment of Dredged Materials for Beneficial Reuses and Disposal
Author(s)
원은지; 최진영; 김경련
KIOST Author(s)
Choi, Jin Young(최진영)Kim, Kyoung Rean(김경련)
Alternative Author(s)
원은지; 최진영; 김경련
Publication Year
2016-12
Abstract
준설은 수저퇴적물을 관리하는 데에 있어 유용한 공법 중 하나로 수심유지, 수환경관리 등 다양한목적으로 사용되며 준설사업에서 발생되는 수저준설물질(주로 토사 성분)은 임의로 폐기물로 간주되어 폐기물 배출해역에 투기되어왔다. 그러나 준설물질은 여러 목적의 토목사업의 재료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준설물질을 자원화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보장해 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최근 퇴적물을 평가하는 데에 있어 기존의 오염물질 함량 기준이 생물 영향과 직접 연관되지 않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생체지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생체지표는 오염물질의 노출과 영향을 진단하는 지표로서 다양한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퇴적물의 위해성 평가에 있어 생체지표를 활용하는 것이 가지는 장점을 보여주고 생체지표를 활용한 해양퇴적물의 오염 및 건강성 그리고 준설물질의 처리와 유효활용을 위한 의사결정에 있어 그 유용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Dredging is inevitably necessary for the management of water infrastructure such as waterways and polluted bottom sediment. Dredged material management options may be offshore dumping, wetland creation, beach nourishment and various other engineering uses depending on the given circumstances at the time of dredging. Among those options, wetland creation and beach nourishment are the preferred ones in Korea considering significant loss of wetland and beach erosion due to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along the coastal region. In order to use dredged material beneficially, however, dredged material needs to be assessed its suitability with respect to its engineering purpose and environmental criteria. In this paper, we demonstrate that environmental risk of dredged material to be introduced into the marine environment can be easily assessed using biomarkers with relative low cost. Biomarkers can also compliment pollutant contents analysis that may not be specific to their impact on biological response. Biomarker information may be used to assist decision making process in selecting suitable treatment or beneficial use options for dredged materials.
ISSN
1225-7184
URI
https://sciwatch.kiost.ac.kr/handle/2020.kiost/2067
DOI
10.14249/eia.2016.25.6.466
Bibliographic Citation
환경영향평가, v.25, no.6, pp.466 - 476, 2016
Publisher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Keywords
준설물질; 유효활용; 위해성평가; 생체지표; 해양생물; Dredged materials; Beneficial use; Risk assessment; Biomarkers; Marine organims
Type
Article
Language
Korean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Items in ScienceWatch@KIOST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